-
교육부가 16일 ‘2028학년도 대입 개편에 따른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고1인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8학년도 수능부터 하반기 모의평가를 2027년 9월이 아닌 8월에 시행한다.
교육부는 8월 4주 또는 5주 중에 하반기 모의평가를 시행하고, 수시모집 원서접수 일정을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된 이후인 9월 중순 이후로 순연해 운영할 계획이다.
그간 학교 현장에서는 9월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되기 전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마감돼 대입 예측 가능성이 저하되고, 불안 심리를 이용한 사교육 홍보가 성행한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이는 가정 경제에 부담을 주고, 정보 접근성이 낮은 학생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어지게 했다.
‘2028학년도 대입 개편에 따른 지원 방안’대로 8월 모의평가 결과 발표 이후에 수시 접수가 이루어지면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의평가 성적으로 수능에서 어느 정도 성적을 낼 수 있을지 예측 가능해 수능 최저형 전형에 보다 냉정하고, 현실적인 지원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쟁률, 누적 성적 분석 등도 반영할 수 있어 안전·적정·상향 조합이 더 정교해질 수 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자기가 지원할 전형에 따라 다르게 대응이 가능하다.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적용 전형은 모의고사 이전에 결정해도 큰 문제 없다. 물론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전형은 모의고사 이후 성적 보고 판단하는 게 안전하다.
이번 2028학년도 9월 모의평가 일정 변경에 대해 입시 업계 역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이번 교육 당국의 조치는 매우 바람직하다고 본다”라면서 “8월 말로 수능 모의평가를 당기고 또 성적이 나온 다음에 수시모집 원서를 접수하게 되면 안정적일 것이며, 보다 확실한 상태에서 자신의 성적을 파악하고 원서를 쓸 수 있게 되므로 합리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8월 평가원 모의고사가 수능 전 범위에 해당할 경우, 중요도는 더욱 높아질 수 것으로 전망된다”라면서 "학교에서는 6월, 8월 모의고사 채점 결과를 동시에 활용해 ‘수시 학교장 추천전형’ 등에서 학교에서 최종 추천 인원 선정,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 정시 예측 등에 상당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 발표…입시 업계 “8월 모평, 6월 모평보다 중요해질 것”
장희주 조선에듀 기자
jhj@chosun.com
Copyrightⓒ Chosunedu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