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이 지난해 11월 전국연합학령평가에 응시한 고등학생 27만명의 성적과 이름 등 인적사항 유출된 것에 대해 자체 조사에 착수한다.김천홍 교육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이 합동으로 자체 조사도 진행 중이며 재발 방지책도 마련할 것”이라며 “앞서 경기도교육청에 조치를 요구해 서울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에도 수사를 의뢰했다”고 20일 밝혔다.전날인 19일 경기도교육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해 11월 23일 치러진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 자료가 인터넷 메신저인 텔레그램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이 파일은 텔레그램의 한 단체 대화방에 ‘2학년 개인 성적표 전체’라는 이름으로 올라온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파일에는 충남, 경남 지역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의 당시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응시자의 성적표 정보로, 학생들의 이름과 성적, 소속 학교, 성별 등이다. 충남, 경남 지역은 당시 교육감 결정에 따라 시험을 치르지 않았다.경기도교육청은 서버가 해킹 당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날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의뢰했다. 사건은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로 이관됐다.김 대변인은 “유출 자료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를 전날부터 취하고 있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원인이 규명될 것으로 보이고,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책도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또 “교육부도 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런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점검할 것”이라고 했다.한편, 연합학력평가는 17개 시·도교육청이 공동 주관하는 고교생 대상 모의고사로 지난 2010년부터는 서울·경기·인천·부산시교육청이 번갈아 가며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글=임민진 조선에듀 기자 #조선에듀
27만명 학생 정보 유출… 교육부, 자체조사 돌입나서
- 교육부·경기도교육청 합동 자체조사 착수
-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점검할 것
Copyrightⓒ Chosunedu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