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개별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온라인 학점 이수를 적극 인정하고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전 10시 한국교육개발원(KEDI)과 유기홍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장이 공동 주최한 ‘제150차 KEDI 교육정책포럼 겸 교육특별위원회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개혁 방안’을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이범 교육평론가는 “문재인 정부가 고교학점제 시행 원년으로 예정한 2025년은 외고·국제고·자사고가 일반고로 전환해 첫 신입생이 입학하는 시기로, ‘학교별 다양화’에서 벗어나 ‘학생별(개인별) 다양화’로 패러다임이 바뀌는 시점”이라며 “이 같은 패러다임 교체에 성공하려면 일반고에서도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토론자인 황홍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은 “절대적인 학생 수 급감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상실할 위험이 큰 상황에서 모든 학생이 최고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간 격차를 줄이고 교육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며 “학생별 맞춤형 교육 권한을 초중등교육법에 반영해 학교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특히 현재 교육당국이 설계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를 보다 포용적인 모델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가장 핵심적인 대안은 ‘온라인 학점제’다.
이 평론가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학점이나 대학 졸업장도 받을 수 있는 시대”라며 “고교학점제의 전제조건인 절대평가 도입 이전부터 학급당 13명 이하로 온라인 클래스를 구성해 다양한 선택과목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학점 취득을 적극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온라인 학점제뿐만 아니라 최근 에듀테크의 보급으로 디지털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운영이 확대될 것”이라며 “이로 인해 학습 알고리즘이 단순해지고, 학습내용 선정과 조직·교육평가 등에서 질적인 접근이 불가능해질 것이란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작은 학교’에 해법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앞으로 개별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실현하려면 학교 규모부터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명주 (사)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장은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은 온라인 중심의 대량학습 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심도 있게 토론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은 맞춤형 대면수업을 따라갈 수 없다”며 “발표와 토론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큰 학교보단 작은 학교가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작은 학교가 앞으로 예상되는 교사의 역할 변화를 반영하기도 수월하다는 주장이다. 나 회장은 “미래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교과지식만 전달하는 전문가가 아니라, 학생의 발달을 돕고 안내하는 것”이라며 “교사가 학생을 다각도로 지원하기 위해서라도 학교 규모는 작아져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 23.1명, 중등 27.4명으로 2019년 기준 OECD 평균(초등 21.2명, 중등 22.9명)보다 많다.
전경원 전 참교육연구소장은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미만으로 감축할 필요성은 코로나19 사태에서 다시 절감하는 지점”이라며 “그럼에도 지난 20년간 정부는 단 한 차례도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 쾌적한 교육환경을 만들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나 회장은 “대단위 집합교육으로는 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어려운 만큼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대처 차원에서도 학급당 학생 수 감축과 작은 학교 육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학생 맞춤형 교육하려면… “온라인 학점제·작은 학교가 대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개혁 방안’ 토론회 열려
이 기사는 외부제공 기사입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