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se

Blind as a bat and other myths about bats
입력 2012.05.31 15:34
  • Have you ever heard of the phrase,  ‘blind as a bat’? The phrase means to have very bad eyesight. But bats are not actually blind and some even have good eyesight. So what other bat myths are untrue?

    Blind as a bat
    All bats are able to see. Ba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megabats and mircobats. Microbats use echolocation to navigate. Echolocation is the physiological process of locating distant objects by using sound waves. As the bat flies it makes high, squeaking noises. The sound travels outwards until it hits an object and bounces back to the bat. This tells the bat where objects like trees or the wall of a cave are, so it can avoid them. Most Megabats on the other hand do not use echolocation. Instead they use their large, well-developed eyes to navigate.

    Blood suckers
    Vampire bats do exist. They live in South America and feed off mammals by cutting a small incision with their sharp teeth and lapping up the blood that wells out. A typical female vampire bat can drink more than 30ml of blood during a 20 minute feed. That’s about half a Yakult bottle of blood! Contrary to common myths that say vampire bats attack humans, they usually feed off animals like pigs, cattle and birds.

    Bats are pests
    Bats are actually nature’s pest control. A single bat can consume over 600 mosquitoes in just one hour! These furry, flying mammals have also helped humans as well. Scientists have been able to isolate a chemical in vampire bat saliva that prevents blood from clotting. This was used to make a medicine to help patients with heart conditions. Guess what the chemical was called? Draculin, named after Bram Stoker’s Dracula.

  • “박쥐처럼 장님” 이란 관용구를 들어본 적이 있나? 이 관용표현은 시력이 매우 안 좋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박쥐는 사실 장님이 아니며, 어떤 박쥐들은 시력이 좋다. 그렇다면 박쥐에 대한 잘못된 믿음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박쥐처럼 장님>
    모든 박쥐는 볼 수 있다. 박쥐는 두 종류로 나뉜다. 큰 박쥐와 작은 박쥐가 그것이다. 작은 박쥐는 반향 위치 측정을 사용해 길을 찾는다. 반향 위치 측정은 음파를 사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의 위치를 찾아내는 생리적인 과정이다. 박쥐는 비행하면 고음의 찍찍 하는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물체와 부딪혀 다시 박쥐한테 돌아오기 전까지 밖으로 나아간다.

    이것은 박쥐에게 나무나 동굴 벽 같은 것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어 이것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대부분의 큰 박쥐는 반향 위치 측정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의 크고 잘 발달된 눈으로 길을 찾는다.

    <흡혈귀>
    흡혈 박쥐는 진짜 존재한다. 그들은 남미에 살고 있으며 날카로운 이빨로 포유동물 표피에 작은 절개를 만들어 흘러 나오는 피를 핥아 마신다. 전형적인 암컷 흡혈 박쥐는 20분 안에 30ml가 넘는 양의 피를 마신다. 그것은 야쿠르트 병의 반정도의 양이다! 흡혈 박쥐가 인간을 공격한다는 일반 통념과는 달리, 그들은 보통 돼지, 가축 그리고 새와 같은 동물들의 피를 먹는다.

    <박쥐는 해충이다>
    박쥐는 사실 자연 병충해 방지이다. 한 마리의 박쥐는 단 한 시간 이내에 600마리 이상의 모기를 먹을 수 있다. 털로 덮여있고 날아다니는 이 포유동물은 인간에게도 도움을 주었다. 과학자들은 흡혈박쥐의 침에서 화학 물질을 분리했는데 이것은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막는다. 이는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돕는 약을 만드는데 사용됐다. 이 화학 물질의 이름이 무엇인지 맞춰봐라! 바로 브람 스토커 드라큘라의 이름을 따 드라큘린이다.

    Word Power idiom 관용구/ eyesight 시력/ myth 신화/ echolocation 반향 위치 측정/ navigate 길을 찾다/ physiological 생리적인/ process 과정/ locate ~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다/ distant [멀리] 떨어져 있는/ sound wave 음파/ squeak 찍찍 하는 소리를 내다/ outward 밖으로 향하는/ bounce back 다시 돌아오다/ cave 동굴/ avoid 피하다/ well-developed 잘 발달된/ exist 존재하다/ South America 남미/ feed off ~을 먹고 살다/ mammal 포유동물/ incision 절개/ lap up ~을 다 마시다/ typical 전형적인/ Yakult 야쿠르크/ cattle 가축/ pest control 병충해 방제/ consume 먹다/ furry 털로 덮인/ isolate 분리하다/ chemical 화학 물질/ saliva 침/ prevent 예방하다/ clot [혈액이] 엉기다/ heart condition 심장 질환

    ※주니어조선 제공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