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1부터 고3까지 학생부 종합전형(이하 학종) 준비는 수험생 모두에게 쉽지 않다. 내신등급이 높다고 해서, 서류 준비가 탄탄하다고 해서 희망하는 대학의 학종 합격을 확신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대학별로 발표한 학종 가이드에 따라 충실히 준비했지만, 같은 대학에 도전하는 경쟁집단이 얼마나 우수하냐에 따라서 당락이 갈릴 수도 있다.
실제로 작년 A 대학 입학처 관계자는 “예년이라면 합격할 만한 학생들 중 상당수가 학종 1단계에서 탈락했다. 이번 학년도에는 역대급으로 우수한 학생들 지원이 눈에 띄게 늘었다”라고 수시가 마무리되고 난 후에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학종 전형은 그만큼 상대적으로 변수가 많은 전형이기도 하다. 다행히 수시는 정시에 비해 지원 기회가 많아 학종의 상대적 불확실성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고 있다.
◇ 학종 전형 준비, 대학마다 다른 평가 기준부터 알아두자
주요 대학 학종에 도전하는 수험생들은 내신 1등급에서 3등급 전후의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학종 전형의 특성상 합격한 학생들의 학생부를 모두 공개하기는 불가능하고 그럴 필요도 충분치 않다. 학종의 본질이야 학교생활 충실자를 선발하는 것이지만, 대학마다 평가 요소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학종을 준비한다면 미리 알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 주요대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비율 예시(2024학년 기준. 변경 가능성 있음)
-
- 이종환 제공.
-
- 이종환 제공.
◇ 학종 평가 요소, 내 학생부 어떤 부분에서 볼까?
위 학종 평가 요소 중 학업 역량에 해당하는 학생부 부분은 ‘교과 성적,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하 교과 세특), 창의적 체험활동(이하 창체) 중 자율활동, 동아리 등이다. 진로 역량 또는 전공 적합성에 해당하는 학생부 부분은 관련 교과성적, 관련 교과 세특, 진로활동, 동아리 등이다. 공동체 역량 또는 사회역량 등에 해당하는 학생부 부분은 교과 세특 일부와 창체,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이라 할 수 있다. 만약 학업과 진로, 공동체 역량이 모두 A 평가를 받을 경우, 대학별로 발표하는 학종 합격생의 내신 평균보다 1~2등급이 낮아도 합격 가능하다. 그만큼 서류 즉 학생부 내용이 우수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한편 학종을 준비하거나 지원할 때 독특한 합격 사례에 주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사례를 적용시키는 것은 피해야 한다. 해당 학년도의 입시 환경이 다를 수 있고, 지원할 대학의 경쟁 상황도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 이유로 인해 학종 합격생의 사례는 매우 다양할 수밖에 없다.
◇ 합격하는 학생부의 공통 특징은 이렇다
하지만 학종 합격생의 학생부에는 공통된 특징들이 존재한다. 요즘은 진로 관련 교과 선택과목의 적절한 이수가 선결 요건이다. 이미 오랜 기간을 거쳐 희망 진로와 관련한 교과 선택을 대학마다 안내하고 있으므로 무지로 변명하는 시기는 지났다.
또한 내신성적이야 높으면 높을수록 좋겠지만 다소 부진한 과목이 있더라도 끝까지 노력하고 있다는 흔적을 보여주는 것이 유리하다. 소위 ’우상향 내신 추이‘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하면 된다. 필자가 지도한 학생 중에서도 2학년 중반까지 부진한 과목 성적을, 남은 두 학기 동안 끌어올려서 학종에 합격한 학생들이 꽤 있다. 무릇 대학에서 학문을 하는 데는 ’노력과 끈기‘가 필요한데, 학생부에 담겨있는 숫자들에서도 학생의 노력과 끈기를 읽어 낼 수 있다.
진로활동에 대해 언급하면, 늦어도 고2부터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학생부 기록들에서 구체성과 일관성을 드러내기를 권한다. 전공 관련 교과 성적이 우수하거나 향상되는 것을 기반으로, 관련 교과 세특과 창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학종 합격생들의 사례를 분석해 보면 고교생활 내내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온 분야가 두드러진 학생들이 많았다.
한편 세특 내용이 길지 않더라도 명확하게 우수성이 서술되어 있고, 뒷받침할 만한 자세한 근거가 있다면 충분하다고 본다. 번잡함보다는 학생의 개별적 특징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임팩트 있는 서술이 필자가 지도한 학종 합격생의 사례에서도 훨씬 더 많이 발견되었다. 바람직한 학생부 기재란 어떤 것일까. 대학 입학담당자들 대부분이 주장하는 ’사실에 근거한 평가적 기술‘이 학생의 개인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답이 될 수 있겠다.
Copyright Chosunedu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