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금도 ‘무조건’으로 지급하는 대학이 늘었다. 전남 나주시에 있는 4년제 사립대학 동신대는 이번 정시모집에 합격한 신입생들(한의예과·간호학과 제외)에게 최소 15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대전에 있는 2~3년제 사립 전문대학인 대덕대도 올해 모든 신입생에게 100만원씩 장학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대전에 있는 4년제 사립대학인 목원대는 수시와 정시에 최초 합격한 신입생 전원에게 80~10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모든 신입생에게 30만원씩 코로나19 특별장학금도 줄 계획이다.
모집단위별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곳도 많다. 경남 김해시에 있는 4년제 사립대학인 가야대는 사회복지재활학부, 스포츠재활복지학과, 경찰행정학과, 경영물류학과, 귀금속주얼리학과의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 100만원을 지급한다. 해운대·양산캠퍼스를 둔 4년제 사립대학 영산대는 수시·정시모집 최초합격 후 최종등록자를 대상으로 모집단위에 따라 최대 13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한다.
지방대학들이 이처럼 신입생들에게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들이 신입생 모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21학년도 입시부터 대학의 모집정원이 입학가능자원을 넘어서는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2021학년도 모집정원은 49만655명이었지만, 고3과 재수생 등을 합친 대학 입학가능자원은 47만9376명에 그쳤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한 지방대학들은 당장 등록금 수입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정부 재정지원의 기반이 되는 대학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학생 충원율’을 주요 지표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실시되는 교육부의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학생 충원율’ 배점은 기존 10점에서 20점으로 두 배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지방대학들의 이러한 고육지책이 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지방대학들의 신입생 등록금 면제, 장학금 지급 등이 확대될수록 대학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교수 임금 저하 등 여러 부작용이 나올 것”이라며 “현재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대안은 좋은 교육성과를 내는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 본격화하는 학령인구 절벽에 대비해 정부의 정책 접근방식을 기존과 달리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배 교수는 “이처럼 지방대학이 극심한 위기를 겪는 건 ‘묻지마식 수도권 집중화’와 ‘대학 서열 고착화’ 등으로 고등교육 생태계가 이미 망가져 있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대학정책을 분리해 상위권 대학은 지원을 줄이되 규제를 풀어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반대로 지방대학은 지원을 늘려 지역사회와 어우러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ulu@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