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대학랭킹에 ‘혁신’을 … 전 세계 60개 대학 총장 모였다

2019/07/04 16:39:53

이날 기조연설자로 참석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은 ‘고등교육을 통한 글로벌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기조연설했다. 대학이 세계시민성을 육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급변하는 국제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와 개혁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 국가가 해결하기 어려운 다양한 형태의 세계적인 범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대학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협력해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세계전체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학생의 세계시민성 향상 교육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 전 총장은 “전 세계 모든 어린이는 공평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며 “누구도 교육을 받지 못해 뒤처지지 않도록 대학의 연합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인천대와 한자대학동맹과 손잡고 WURI를 개발하는 것 역시 지역과 국가를 벗어난 세계적인 협력이라고 추켜세웠다.

또 정치지도자들의 인식 개선도 대학의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반 전 총장은 “일부 나라는 경계에 갇혀 있다”며 “미국 우선주의로 대표되는 자국우선주의는 세계시민성이 아닐 뿐만 아니라 좋은 리더십도 아니기 때문에 대학이 미래의 정치지도자들에게 세계시민성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열린 좌담회에서는 김도연 포스텍 총장이 사회를 맡았다. 조 총장과 벤 넬슨 미네르바스쿨 창립자, 알렉산더 카트라이트 미주리대 총장, 피터 슈페르버 데겐도르프 공과대학 총장 5명이 연단에 올라 대학교육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벤 넬슨 미네르바스쿨 설립자는 기존 대학들이 경직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년을 보장받은 교수들이 교육에 관심을 쏟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벤 넬슨은 “정년을 보장받은 일부 교수들은 학문연구에 많은 자유를 누리고 대학의 많은 자원을 마음껏 활용하지만, 교육엔 소홀하다”며 “물론 연구도 교수들의 중요한 역할이지만 교육적으로 더 기여를 해 학생을 가리는 게 문제다”고 전했다. 이어 “전통적인 대학교육으로는 학생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없다”며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거나 연구 중심이 아닌 실생활에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좌담회에 이어 지속가능성을 위한 고등교육과 기업가정신의 도전을 주제로 각 대학 총장의 발제가 이어졌다. 최병욱 한밭대 총장은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의 대체 가능성’을 주제로, 이브라힘 엘칼라 카이로 바드르 대학 부총장은 ‘개발도상국의 개인보호와 대학랭킹의 영향에 대한 도전’을, 야오 케이스케 기타큐슈대 총장은 ‘대학교육의 공감교육 경험을 통한 학습’을, 권덕칠 루터대 총장은 ‘ISO 9001 인증 획득을 통한 삼일대의 혁신’을 주제로 연단에 섰다.

이번 콘퍼런스는 이날 행사에 이어 5일 대학의 미래와 WURI의 구체적인 평가 방식을 설명하는 워크숍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한자대학동맹은 12세기~13세기 북해와 발트해 일대에 융성한 도시국가들이 만든 상업적인 도시동맹인 한자동맹이 설립한 대학들의 연대체다. 인천대는 올해 개교 40주년을 맞아 한자대학동맹 회원교를 초청해 2회 대회를 열었다. 인천대는 앞서 지난해 1차 한자대학동맹 콘퍼런스에 초청됐고 올해부터 1년간 회장교를 맡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