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미래교육 토론회서 "전문대학 실무역량 지원 강화해야" 한목소리

2019/06/10 16:46:59

◇"전문대학 사회적 인식 개선방안 마련해야"

토론회에서는 전문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문제도 중점적으로 다뤘다. 조현성(동양미래대 정보통신공학과 3)씨는 "대학은 이론 교육, 전문대학은 실무 교육에 중점을 둔 학교이므로 설립 목적부터 차이가 난다"며 "전문대학을 졸업했다는 이유만으로 대우, 급여, 자격 등에서 불합리한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지효(인천재능대 간호학과 1)씨는 "전문기술직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대안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학력에 따른 입사 지원 제한도 하나의 장애물로 꼽혔다. 유희라(인덕대 비서학과 3)씨는 "최근 전문대학에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 운영되고 있지만,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이 이를 인지하지 못해 취업에 필요한 자격요건을 인정받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각 전문대학에 개설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제도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전문대학 졸업자가 출신학과와 동일한 계열의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와 함께 중장기 교육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국가교육위원회에 전문대학 전문가의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성현씨는 "향후 국가교육위원회의 위원들은 대다수가 일반대학 출신으로 꾸려질 것"이라며 "전문대학의 발전을 위해선 전문대학 출신이거나 실정을 잘 아는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관련 법안은 연내 통과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은 토론회에 앞서 같은 장소에서 열린 11차 국가교육회의에서 "당초 목표대로 국가교육위원회를 연내 설립하려면 이달까진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며 "국회가 공전하고 있어 법안 통과가 지연되더라도 국가교육위원회 법제화에 필요한 동력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