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시행될 예정인 이 맞춤형 보육 제도에 어린이집들은 '존폐가 걸렸다'며 저항이 크다. 1만4000여 어린이집 회원을 거느린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는 "맞춤형 보육 강행에 반대해 23~24일 소속 어린이집 1만 곳 정도가 휴원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 휴원해도 아예 문을 닫는 것은 아니고 이에 동의한 부모들만 아이를 보내지 않는 식의 '자율 등원'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게 한민련 측 설명이다. 어린이집들이 왜 이렇게 휴원까지 강행하며 맞춤형 보육 제도에 반대할까.
근본적 원인은 맞춤형 보육 실시에 앞서 어린이집의 '경영난'이란 지적이 나온다. 한민련은 지난 16일 성명서에서 "지난해 민간·가정 어린이집은 정원 미달 등으로 인한 운영난으로 1400여 곳이 폐원했다"고 했다. 맞춤형 보육 이전에도 어린이집 운영이 어려웠다는 얘기다. 특히 무상 보육이 실시된 이후 전업주부까지 너도나도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다 보니 어린이집은 2005년 2만8367곳에서 2013년 4만3770곳으로 정점을 찍을 때까지 계속 늘어났다. 그러다 2013년 3월부터 가정에서 만 0~5세 아이를 키우면 월 10만~20만원 가정양육수당을 주기 시작하며 어린이집 수요가 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