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콜로라도대학교 등 공동 연구팀은 작년 7월 뉴호라이즌스가 1만2000㎞ 거리를 두고 명왕성을 통과하면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명왕성의 지형과 대기 등을 분석한 중간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8일 자(현지 시각) 통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명왕성 표면에는 협곡을 연상케 하는 흔적이 남아 있다. 이는 질소와 이산화탄소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명왕성의 온도가 올라가면 지표의 질소와 이산화탄소가 액체처럼 변하고, 그 위에 있던 얼음 덩어리가 미끄러지면서 표면을 깎아 계곡 같은 지형을 생성한다는 얘기다. 특히 근일점일 경우 명왕성의 온도는 더욱 상승하므로 표면에 있는 메탄까지 유동성을 갖게 돼 보다 복잡한 지형이 형성된다. 근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을 일컫는다.
이번 연구에선 명왕성 대기의 주성분이 질소와 메탄이라는 사실도 확인됐다. 명왕성 온도가 올라갈 때 표면에 있던 질소와 메탄이 기체가 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명왕성의 궤도는 심한 타원을 그리기 때문에 근일점이나 원일점을 지나면서 온도가 변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현재의 대기는 어떻게 형성됐는지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원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지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