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2 15:04:45
위의 시는 김수영의 [사령]으로 2008년 수능에 출제되었던 시의 한 부분이다. 위의 시에서 화자가 처한 상황의 단서가 되는 것은 무엇일까? 잘 모르겠으면 일단 부정적인 상황일 만한 것을 찾으면 된다. 그렇게 생각해보면 당연히 (1) 나의 영이 죽어있는 것이 아니냐는 시구가 눈에 들어 올 것이다. 이 시구를 보고 어떤 뜻인지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 다만 그것이 상승의 이미지인지 하강의 이미지인지만 생각해보자. 당연히 하강의 이미지이다. '죽음'이 흥겹고 신나는 일일리는 없기 때문이다. 잘 모르겠다고? 그러면 (1)이 긍정적인 상황인지 부정적인 상황인지만을 생각해보면 된다. 그러면 누구나 부정적인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것을 가지고 문제를 어떻게 물어봤을까? 문제에서는 (2)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를 '이상을 묵묵히 실천하는 태도'라고 해석한 선택지가 나왔다. 이 선택지는 맞는 해석일까? 어떤 시구나 시어, 그리고 화자의 태도이든지 항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과 관련해서 의미를 추측해야 한다고 이전 칼럼에서 강조했었다. 이것을 잘 명심해보면 '고개 숙이고 듣는 것'이 '실천하는 태도'일까? 결론적으로 말해 '아니다'. (1)에서 화자는 자신의 영이 죽어 있는 상황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개를 숙이고 듣는다'는 것은 (1)과 같은 상황과 관련해 보면 어떤 실천도 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태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시적 상황', 즉 화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가 하는 것은 모든 시어와 시구, 그리고 화자의 태도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단서가 된다.
"시포자들이여, 시어와 시구, 화자의 태도를 해석하기 전에 시속의 상황을 먼저 파악하라!"
그러면. 그 다음에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너무 쉬워서 어리둥절할지도 모르지만 도대체 '누가' 행동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말귀를 알아듣는 첫번째 자세는 말을 하는 자는 누구고, 그 말 속에서 행동을 하는자는 누구인지를 분별하는 것이다. 이 분별을 잘 하지 못하면, 즉 '말하는 자'와 '행동하는 자'를 잘 분별하지 못하면 시 감상은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이 지극히 당연하고도 쉬운 감상법을 수능에서는 어떻게 물어봤을까? 수능 시험은 결코 화려한 기술을 요구하거나 기기묘묘하고 난해한 해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 실력을 잘 갖추고 있는지는 철저하게 확인하는 시험이다. 시구를 어떻게 해석하건 시 감상의 기본을 잘 알고 있는지를 확인했던 문제 중에 2004년에 출제된 문제가 가장 잘 다듬어진 문제이다. 다음 시구를 먼저 한번 읽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