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304/28/2013042800543_1.jpg)
민병두(54·케이프타운 더반빌)씨는 지난 2004년 명예퇴직 직후 가족과 함께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으로 건너왔다. 처음엔 2년쯤 어학연수 후 귀국할 요량이었지만 현지 교육 환경이 마음에 들어 정착했다. 내친김에 그는 유학생용 홈스테이 프로그램 ‘남아공찰리하우스(blog.daum.net/mindu502)’도 운영 중이다.
민씨는 남아공 유학의 장점으로 영어 학습과 다양한 예체능 활동을 들었다. “남아공은 한때 영국 식민지였던 만큼 대부분 학교가 영어로 수업합니다. 캐나다·호주·미국 등 영어권 국가로의 유학이 용이한 구조죠. 승마·골프 같은 고급 스포츠를 저렴한 가격에 배울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고요. 특히 승마장은 웬만한 동네마다 있고 교습비도 회당 1만원으로 부담 없어요.”
사교육이 활성화돼 있지 않아 일과가 일찍 끝나는 것도 남아공 유학 생활의 특징이다. 민씨에 따르면 남아공 초등생은 3학년 때까지 시험이 없고 평균 취침 시각은 오후 8시 전후다. 우리나라로 치면 고 2에 해당하는 민씨의 딸 슬기(큐로사립학교 11년)양도 오후 10시면 잠자리에 든다. 남아공 유학생은 대부분 케이프타운 등 상류층 거주지에 머문다. 연간 유학비(중·고생 기준)는 2500만원 내외. 민씨는 “학비와 숙박비(홈스테이 기준)는 물론, 스포츠 교습비까지 모두 포함한 금액”이라며 “치안이나 생활수준 등을 두루 고려할 때 그리 비싸지 않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case2 카자흐스탄ㅣ 김인숙·박진선 모녀
초·중·고교 과정 한 학교서… 유럽 유학 수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