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수학·과학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 '맘' 속 궁금증 확 풀어주세요

2012/12/16 15:27:14

Q. 교사 따라 수업의 질 달라지나
A. 연구·개발 등 꾸준한 노력 필요해

STEAM형 수업은 교사 재량권이 큰 편이다. 오씨는 "교육에 열정적인 교사, 과학 전공 교사를 담임으로 만나지 않으면 아이가 제대로 된 STEAM형 교육을 접할 기회는 영영 없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최 교사는 "내용이 방대한 데 반해 관련 자료는 부족해 수업을 준비할 때마다 애를 먹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아이들을 가르치려면 교사도 당연히 공부해야죠. 물론 STEAM형 교육에 관심 있는 교사들은 이미 연구 동아리를 만들어 관련 공부에 몰두하고 있어요. 다만 수업 시안 연구 시간을 확보하려면 나머지 잡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이 선행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최재운) "실제 STEAM형 교육을 위해 교사 연수 강단에 서보면 적지않은 교사가 STEAM형 수업 기획에 어려움을 토로합니다. 하지만 이런 분도 몇 차례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곧 깨닫게 될 거예요. 실제 수업을 이끌어가는 건 학생들이므로 교사는 지켜보는 역할에만 충실하면 된다는 사실을요."(박경미)

Q. STEAM형 문항 '평가기준' 궁금
A. 창의성 중요… 복수답안도 허용


STEAM형 문항은 대부분 서술형으로 출제된다. 최 교사에 따르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사건을 제시한 후 그에 대한 해결책을 요구하는 형태의 문항이 많다. 과학뿐 아니라 국어·수학 등 다른 과목 시험에서도 STEAM형 문항이 출제될 수 있다. 이를테면 STEAM형 국어 문항은 흡사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처럼 다양한 출처의 제시문이 동원된다(단, 시험 범위는 수업 시간에 다룬 지문으로 한정된다).

융합인재교육(STEAM형 교육)

STEAM은 과학(Science)·기술(Technolo- gy)·공학(Engineering)·예술(Arts)·수학(Mathematics)의 줄임말이다. 이론 중심의 기존 수학·과학 교육에 기술·공학·예술 분야 학습 내용을 연계한 교육으로 ‘실생활 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과부의 최근 정책 기조를 대변한다. 지난달 29일 교과부 주최로 제1회 융합인재교육 성과발표회가 개최됐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