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서경덕이 만난 사람] (13) 공연기획자 송승환

2012/08/28 15:34:33

서: 일부에선 "한때 홍콩영화가 그랬듯 대중문화 중심 한류도 단명할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송: 그 점에 대해선 별로 걱정 안 합니다. 당시 홍콩영화는 일명 '홍콩 누아르'로 불리는 장르에 국한돼 있었어요. 하지만 한류는 음악·영화·드라마 등 장르가 다양하죠. 다만 '케이팝(K-pop)이 아이돌 그룹의 댄스 음악에 너무 치우쳐 있다'는 지적엔 어느 정도 동의합니다. 댄스 음악이 세계 시장으로 향하는 문을 열었다면 이후엔 그 뒤를 이어 록·발라드 등 다양한 한국 음악을 소개해야죠. 그런 면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는 현상은 고무적입니다. 해외 한류 팬에게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저변이 넓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기회니까요.

서: 공연 기획자 입장에서 '한국적인 것'이란 무엇인가요?

송: '한국적인 것=고전적인 것'이란 등식은 더 이상 성립하지 않습니다. 한국적 콘텐츠를 만들겠다며 조선·고려 시대로 무조건 돌아가는 게 능사는 아니죠. 고정 관념을 깨야 합니다. 이젠 지극히 현대적인 얘길 다룰 때가 됐어요. '2012년 현재 서울의 일상'을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도 외국인의 눈엔 충분히 한국적일 수 있거든요. 실제로 얼마 전엔 싸이 덕분인지 미국 케이블 TV 채널 CNN에서 '강남 특집'을 방영하더군요. 한강을 중심으로 남·북쪽이 확연히 달라지는 광경 역시 외국인에겐 굉장히 한국적 특징으로 비쳐질 겁니다.

서: 교육자로서 학생들을 가르칠 땐 어떤 점에 가장 주력하십니까.

송: 결론부터 말하면 '창의력'입니다. 이젠 암기력 뛰어난 사람보다 창의적 인재가 대우 받는 시대예요. 우리 땐 잘 외우는 아이들이 '머리 좋다'는 소릴 들으며 출세가도를 달렸습니다. 하지만 요즘 그런 정보는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다 나오죠. (키보드 두드리는) 손놀림만 빠르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어요. 창의력을 키우려면 교육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어야 합니다. 한때 초등 교육과정 개정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었는데 당시 '과목 수 감축'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었어요. '무슨 과목을 줄여야 하느냐'는 질문에 한 자문위원이 '한 학년에서 음악·미술 다 가르치는 건 무리이니 1년에 한 개씩만 다루자'고 답하더군요. 기가 막혔습니다.

서: 저도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회의에 참석했다가 그 비슷한 일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웃음)

송: 그런 풍토에선 결코 창의력이 계발될 수 없습니다. 현행 교육과정을 아이들의 창의력을 살리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어요. 대학이 신입생을 선발할 때도 지원자의 잠재력 평가 방식을 계속 고민해야 하고요.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맞으려면 창의력 중심 사회부터 완성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