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지방대 추락하며 서울 쏠림 가속… 서울 학생보다 비용 두 배

2011/06/14 03:00:31

반면 지방 가계의 소득은 서울보다 훨씬 낮다. 통계청 조사(2009년)를 보면 1인당 개인소득의 경우 서울이 1579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며, 전남 1110만원, 경북 1179만원으로 서울의 70%, 74% 선이다. 이처럼 소득격차가 커진 상황에서 지방 학부모들이 자녀를 서울에 유학시키면서 서울 주민보다 2배가량 교육비를 더 쓰고 있다. 서울과 지방의 소득·자산 양극화 현상이 자녀의 대학교육 과정을 거치며 더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두 자녀를 서울 지역 대학에 진학시킨 대구지역 이모씨의 경우 연수입 4500만~5000만원 가운데 2000만원 이상을 학비로 쓰고 있다. 재산에서 5000만원을 떼 자녀들에게 서울의 다세대주택 전세를 얻어줬다. 서울의 두 자녀에게 교육비를 쏟다 보니 박씨 부부는 집도 마련하지 못했다. 현재 20평대 아파트에서 전세살이를 하고 있다.

전북 익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사립 K대에 진학한 임모(23)씨도 "돈이 많이 드는 '서울생활'이 너무 어렵다"고 했다. 자영업을 하는 부모가 월 50만원씩 생활비를 보태주지만, 방세(월 40만원)를 내고 나면 남는 것이 거의 없다. 평일엔 학교 학생 식당에서 일하고 주말엔 과외 등 아르바이트를 하지만 늘 빠듯하다. 지금까지 4학기 학자금 대출을 받아 1400여만원의 빚을 졌다. 임씨는 "부모님이 '그래도 서울에 가야 취업이 잘 되지 않겠느냐'고 해 지금 대학에 왔고 고생을 하고 있지만, 요즘엔 취업이 잘 안 돼 빚만 남으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