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극복 위해 학교·지역·교육청·지자체 협력은 선택 아닌 필수” [조선에듀]
임민진 조선에듀 기자
기사입력 2022.12.07 10:56

●교육부 ‘2023년 미래교육지구’ 33개 선정... 지역 교육력 향상 도모
●일반고 역량강화 등 2023년 중점과제 중심으로 공모해 지구별 1억 원 지원

  • 교육부는 3년간의 운영 결과와 새 정부 지방균형발전 국정기조에 맞추어 2023년 미래교육지구를 새롭게 설계했다./교육부
    ▲ 교육부는 3년간의 운영 결과와 새 정부 지방균형발전 국정기조에 맞추어 2023년 미래교육지구를 새롭게 설계했다./교육부

    교육부가 전국 33개 지역을 2023년 미래교육지구로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 기초자치단체가 공동으로 기획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전국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지방자치단체가 지속가능한 협력 체제를 구축해 초등 돌봄 등과 같은 주민수요에 기반한 다양한 교육사업을 민‧관‧학이 공동으로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공모사업이다.
     
    2020년 11개 지구로 시작한 해당 사업은 지난 3년간 교육지원청·기초지자체의 공동협력센터 설립 등 기초단위 민관 협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하지만 초‧중학교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져 지구 내 고등학생을 위한 혜택은 다소 미흡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에 교육부는 3년간의 운영 결과와 새 정부 지방균형발전 국정기조에 맞추어 2023년 미래교육지구를 새롭게 설계했다. 교육부는 “내년 중점과제로 일반고 역량강화와 타(他)부처 사업연계를 제안해, 미래교육지구가 지역의 교육력을 ‘고등학교’ 중심으로 숙의하고, 다른 부처의 각종사업을 ‘지역교육’ 중심으로 재구조화 할 것을 권장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또 “미래교육지구를 지역 내 대학, 기업, 전문가 등의 자원을 고등학생을 지원하는 교육구조로 기획함으로써, 인공지능(AI)‧사물인테넷(IoT)‧메타버스 등 그동안 개별학교에서 경험하기 어려웠던 분야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지구 내 고등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경험의 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주민자치 교육분과(행안부), 사회적 농업(농식품부) 등 주민수요에 기반한 타부처 사업과 교육 분야를 연계함으로써 학교, 교육지원청·기초지자체가 지역의 교육의제를 함께 형성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각각 1억 원과 교육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상담을 지원받는다. 

    교육부는 초‧중등교육, 평생 및 지역교육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중심으로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단’을 구성해 성장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맞춤형 상담, 미래교육 아카데미, 성장 연수회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각 지구의 교육청과 지자체가 지역 여건과 상황에 맞춰 공동비전과 목표를 함께 수립하고 2023년 세부계획을 보완할 수 있도록, 지구별 사전 상담(컨설팅)을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실시한다. 
     
    고영종 학교혁신정책관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 교육청과 지자체 간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교육부는 미래교육지구를 통해 지역의 교육력이 향상되고, 그 성과가 학생의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