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자율성 확대해야”
하지수 조선에듀 기자
기사입력 2020.06.23 15:15

-교육 전문가들, 코로나19 사태 이후 교육시스템 논의

  • 
‘코로나 이후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위한 현장포럼’./유튜브 캡처
    ▲ ‘코로나 이후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위한 현장포럼’./유튜브 캡처
    “불확실성의 시대, 정부에서 일괄적인 지침을 내리기보다는 학교, 지역별 자율적으로 교육이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23일 오후 2시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가 개최한 ‘코로나 이후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위한 현장포럼’에 참석한 교사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교육 현장에 일어난 변화를 공유하고 이에 걸맞은 교육시스템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과 현직 초·중·고교 교사, 학생 등이 참석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관객 없이 진행됐다.

    마이크를 잡은 민천홍 춘천 남산초 교사는 학교의 자율성 확대를 주장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대규모 감염병이 유행하는 상황에서 각 학교는 교육부의 지침이 내려올 때까지 수동적으로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면서 “기존의 교육 자치, 더 나아가 교육 시스템의 맹점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강원도 농산어촌 지역의 사례를 언급했다. 전교생 60명 미만, 한 교실당 학생이 15명 내외의 소규모 학교에서는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등교수업을 할 수 있음에도 국가의 일괄적인 지침에 따라 원격수업을 진행했다는 내용이다. 민 교사는 “만약 정부에서 지역, 학교급별 상황에 맞는 자치 활동을 지원했다면 교사들이 학생들을 위해 보다 내실있는 교육 활동을 펼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미영 경기 시흥 응곡중 교사 역시 이에 동의했다. 김 교사는 “교육을 교육답게, 학교를 학교답게, 교사를 교사답게 만드는 게 자치의 힘”이라면서 “관리와 편의 위주로 만들어진 온갖 지침과 규정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고 꼬집었다.

    위기 상황 속에서 자발적으로 나타난 교사들의 움직임은 자발성을 끌어내는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온라인 개학 기간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막기 위해 교사들이 만든 온라인 학습 사이트 학교가자닷컴이 그러한 예다.

    아울러 박대식 경기 성남 위례푸른초 교감은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데 있어서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자율화된 교육과정이 공정한가’라는 질문의 답을 교육 현장에서 증명하고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을, 왜 해봤으며 어떤 점이 좋았는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