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수업, 시기보다 방역·수업·관리 대책 마련 시급
이재 조선에듀 기자
기사입력 2020.04.29 14:52

-교육부, 5월초 등교수업 예정 … 3일께 결정
-“마스크 비축량 부족 … 수업은 또 어떻게…”
-현장 소통보다 앞선 언론 발표에 불신도 커져

  • 교육부가 등교수업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학교현장에선 시기에 앞서 방역대책과 수업 진행 지침, 학생관리 대책 수립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 DB
    ▲ 교육부가 등교수업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학교현장에선 시기에 앞서 방역대책과 수업 진행 지침, 학생관리 대책 수립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 DB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하면서 교육부가 등교수업 실시를 검토하고 있다. 다음 달 3일께 결정해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다. 시점은 5월 중순, 방식은 온라인 개학처럼 학년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시할 전망이다. 여러 소식통에 따르면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28일 신학기 개학추진단 회의를 주재하고 19일 실시를 제안했다. 

    수업 방식은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입시를 앞둔 고3·중3을 대상으로 우선 등교수업을 실시하는 방안과 초등 저학년부터 등교수업을 실시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또 등교시간을 통일하는 방안과 학년을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분리하는 방안, 학급을 오전과 오후로 분리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순차적 등교수업을 실시할 경우 원격수업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지도 논의 대상이다. 일부에선 등교수업을 실시한 경우 원격수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원론적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를 바라보는 학교현장의 표정은 어둡다. 일부 교사는 ‘탁상공론’이라는 비판도 서슴지 않는다. 학교현장에서는 등교수업 실시 논의에 앞서 확실한 감염 우려 차단과 방역지침, 수업 진행 가이드라인 등을 정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우선 마스크 보급 대책이 필수다. 교육부는 학생 1인당 보건용 마스크 2개, 면 마스크 2개 보유를 기준으로 제시했으나 일부 교사는 실제 현장의 비축분은 턱없이 모자라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기도 안산시 한 고등학교의 임모교사는 “우리 학교 마스크 비축량은 1500여장 정도”라며 “교육부에선 연일 마스크 비축량이 충분하다고 밝히고 있는데 학교현장에선 갸우뚱한 이야기”라고 했다.

    등교 뒤 방역의 핵심인 거리두기도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지적이다. 아직 뚜렷한 방역지침이 내려온 것은 아니지만, 일선 학교는 책상 간 거리를 2미터(M) 이상 간격을 두는 방식으로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 학급은 수업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아예 반을 나누자니 가르칠 교사가 모자란 현상이 발생한다. 일선 교사는 그래서 교육당국이 최대한 빨리 관련 방침을 정하고 현장교사와 소통해 현실적인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학생 관리에 대한 우려도 크다. 특히 점심시간 등 학생이 교실을 벗어났을 때 벌어질 수 있는 밀접접촉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 실제 싱가포르도 개학 뒤 밀접접촉으로 인한 확진자가 급증해 다시 재택수업을 실시할 정도로 학교를 매개로 한 감염위험은 크다. 일각에선 이 때문에 점심시간을 아예 폐지하자는 의견까지 나올 정도다. 

    이 밖에도 등교수업 진행 뒤 코로나19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학사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도 확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현행에 따르면 학교당국은 학생에게 등교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미 가뜩이나 짧아진 수업일수 탓에 결손이 불가피하다. 아예 수업일수를 채우지 못해 진학이 불가능한 경우도 가정해볼 수 있다. 

    여기에 가뜩이나 원격수업 실시에 어려움을 겪는 특수학교는 등교수업 시 수송대책까지 세워야 할 상황이다. 한 특수학교 교사는 “특수학교나 학급이 많지 않다 보니 먼 거리를 차량으로 이동해야 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등교수업을 실시하면 학생관리나 인솔에서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기저질환 등으로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더욱 큰 특수학교 학생은 등교수업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가정돌봄 여력도 바닥이 난 상황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상황에 처했다는 것이다. 

    오준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30청년위원장은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늦어질수록 원격수업을 진행하면서 등교수업에 대비해야 하는 현장의 고충이 커진다”며 빠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수업진행에 대한 결정도 시급하다. 특히 등교수업을 실시한 뒤 원격수업을 어떻게 활용할지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순차적 등교를 실시하면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일정 기간 병행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중·고등학교의 교사의 업무량은 배로 증가한다. 임 교사는 “과목전담 교사는 한 학년 수업만 하지 않는다”며 “수업을 등교, 원격으로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뿐만 아니라 수업의 질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원하는 학생에 한해 등교수업을 하게 하는 방안도 논의되지만 교사 입장에서 부담이 생기는 것은 마찬가지다.

    원격수업 부담을 호소하는 학교현장의 분위기와 달리 교육부는 이번 코로나19를 계기로 원격수업을 아예 수업의 한 방식으로 정착시키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2025년 전면 도입을 앞둔 고교학점제가 배경이다. 고교학점제 실시 뒤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인 개별 학교의 학생 선택 과목 부족 문제를 원격수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품고 있는 것이다. 

    에듀테크 업계 한 관계자는 “교육부가 앞으로도 원격수업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란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며 “교육발전을 위해서라도 원격수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할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등교수업 시 원격수업을 아예 중단해야 한다는 교육계 일부와 마찰이 불가피한 지점이다. 

    이처럼 해소해야 할 문제가 산적한 가운데 교육부의 뒤늦은 소통도 불신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위원장은 “교육부가 현장교사 혹은 학교당국과 협의하기에 앞서 언론에 각종 중대사안을 발표하다 보니 오히려 혼란이 커진다”며 “원격수업 준비로 눈 토 뜰새 없는 교사가 수업을 마친 뒤 학부모에게 교육부의 발표내용을 되묻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촉박한 일정 내에 결정을 내리다 보니 다소 미숙한 점이 있었다”며 “향후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현장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