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안팎 미세먼지 유발요인부터 줄여야”
입력 2019.11.12 17:03
-12일 ‘서울형 학교 미세먼지 정책 진단과 대책 포럼’ 열려
  • 12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에서 열린 '서울형 학교 미세먼지 정책 진단과 대책 포럼'에서 전문가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오푸름 기자
  • “학교 미세먼지 문제 논의는 공기정화장치 설치나 실내 공기 질 측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 안팎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유발요인을 줄이려는 노력을 병행해야만 효과적입니다.” (최유진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부연구위원)

    학교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교내외에서 미세먼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2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에서 열린 ‘서울형 학교 미세먼지 정책 진단과 대책 포럼’에서다. 이번 포럼은 학교 미세먼지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장기 미세먼지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학교 주변환경부터 조사… 교실 유입 최소화 대책도 필요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최 부연구위원은 “학교 안팎의 미세먼지 유발요인 최소화는 학생들의 미세먼지 노출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학교별로 주변환경을 조사해 미세먼지 유발요인을 줄이려는 노력이 선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량 통행이 잦은 대로변에 인접한 학교는 학부모 차량을 이용한 등·하교를 금지하거나, 수업시간에 차량의 통행 속도나 대형차량의 진입을 제한하는 식이다.

    해외에서는 학교 미세먼지가 주변환경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반영해 학교 부지를 선정할 때부터 관련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고 있다. 발제자인 임영욱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장은 “미국에서는 학교를 수리하거나 증축·변경할 때와 학교를 신축할 때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를 거친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미세먼지를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보단 수요 위주로 학교를 짓고 있다”고 지적했다.

    외부의 오염 물질이 교실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손종렬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교수는 “학교 미세먼지 진단 시,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섞이면서 어떤 요인이 공기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한 진단이 필요하다”며 “현재 학교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모든 요인을 명확하게 밝히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학교 주변환경 진단 이후에는 외부의 오염물질의 교실 유입을 최소화하는 대책과 유입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대책을 추가로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서울형 학교 미세먼지 정책 진단과 대책 포럼'에서 손종렬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교수가 '서울학교 공기질 관리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평가 및 매뉴얼'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는 모습. /오푸름 기자
  • ◇학교 안 미세먼지, 다양한 지원방안 도입 논의

    학교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학생들의 교내 요구 사항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장옥화 서울 등원초 교장은 “지난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서울형 미세먼지 교육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공기정화장치와 같은 미세먼지 대응 설비나 시설, 별도의 대체 활동 장소, 보건용 마스크 등 위생용품, 실시간 미세먼지 알림판 등을 학교나 교육청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토론자들 역시 학교 안 미세먼지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 다양한 지원방안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교실 규모별 적정 학생 수, 청소와 환기법,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실내 활동 자제 등 관련 행동 매뉴얼 등을 교사 또는 학생들에게 교육해야 한다”며 “학교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요인은 정부에 법제도 개선을 요청하거나 지역사회와 협력해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교육부 요청으로 미세먼지 대응능력을 기르기 위한 ‘안전교육 연구학교’를 2년간 운영한 이선미 서울 삼양초 교사는 “학생들이 수시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대응 수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미세먼지 신호등’과 같은 장치를 활용해 정보를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사는 “학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내 청소 인력과 관련 예산 지원 확대도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공기정화장치는 학교 안 미세먼지를 줄이는 대안으로 가장 주목받아왔다. 현재 서울 관내 학교의 공기정화장치 설치율은 유·초·특수학교 94%, 전체 학교 87.9%에 달한다.

    이미 설치된 공기정화장치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손 교수는 최근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이 주관한 ‘공기정화장치 효과성 모니터링’ 연구결과에 따른 공기정화장치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는 “쉬는 시간과 하교 시간 등 학생들의 움직임이 많은 시간대에는 교실 내 미세먼지 농도가 학교보건법 관리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다”며 “해당 시간대에 공기정화장치를 집중적으로 가동해 기준치 이하의 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학교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환경통합형 학교 미세먼지 관리기술 개발사업’을 지난 6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최인수 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문화예술과 사무관은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 학교 현장에 적합한 공기정화장치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