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권 전문가 양성하는 해외취업 정책 필요해”
입력 2019.06.21 16:41
-2050년 아시아권 GDP 전 세계 50%↑ ‘전문가’ 수요 확대
-디지털 노마드 시대, 파견식 해외취업 정책 변화도 필요
  • =21일 국회에서 ‘청년의 미래를 논하다’를 주제로 청년 해외취업 관련 토론회가 열렸다. 전문가들은 이 자리에서 정부의 정책 방향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재 기자
  • 청년 해외취업을 아시아권 국가로 늘리고 지역전문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1일 국회에서 ‘청년의 미래를 논하다’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청년 해외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취업 후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전문가로 양성하는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이상돈 바른미래당 의원은 “국내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청년들이 해외취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해외취업을 지원하고 현지에 적응해 미래를 설계하는 것을 돕는 정부 정책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한국산업인력공단(산인공) 통계에 따르면 연수와 공공알선, 정착지원금 등 정부정책의 도움을 받아 해외취업한 청년은 5783명이다. 2014년 1679명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늘어난 셈이지만 재직기간이 2~3년으로 짧은 편이다. 현지에 적응하기보다 경력을 쌓아 국내 취업에 유리한 토대를 마련하는 형태의 해외취업이 주를 이룬 셈이다.

    ‘인구이동의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 이연복 산인공 국제인력본부장은 이들을 지역전문가로 양성하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세계적인 인구이동이 늘어나면서 모국을 떠난 국민이 거주국에서 공동체를 형성해 모국과 거주국을 연결하는 클러스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리도 청년 해외취업 정책을 단순히 일자리를 찾는 수준으로 국한하지 말고 이런 지원을 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책을 수요자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본부장은 “현재의 청년 해외취업 정책은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정부지원금을 배정하고 청년이 특정한 절차와 경로에 따라 취업하는 것”이라며 “이를 바꿔 청년이 스스로 취업을 원하는 일자리를 개척하고 이를 심사해 정부가 지원하는 자기주도형 프로그램으로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취업의 대상도 영미권 국가에서 아시아권 국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산인공이 한 교육기업과 함께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재직자가 선호하는 해외취업 국가는 캐나다(22.3%), 미국(21.3%), 호주(13.2%), 영국(5.8%), 독일(5.6%) 등 영미권과 유럽이다. 그러나 세계적인 추세는 오히려 영미권과 유럽이 아닌 아시아권 국가의 이주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 본부장은 “아시아개발은행의 예측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국민총생산의 50%를 아시아가 차지할 것”이라며 “정부도 청년들의 아세안 국가 진출을 지원해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해외취업의 개념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국현 에디토이 대표는 ‘현실로 다가온 디지털 노마드’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실제 해외에 거주하지 않고도 해외기업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이 마련되면서 발생한 변화”라며 “원격으로 얼굴을 보지 않고 업무를 논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골에서 해외의 일을 받아 처리하는 등의 노동형태 변화가 시작됐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사무실에서 면대면으로 일하는 게 아니라 공유사무실처럼 편한 장소에서 집중력을 높여서 일하는 방식이 서드 플레이스”라며 “일본에선 이런 인구를 끌어들이기 위해 지방정부가 ‘시골 노마드’ 정책을 펴는 등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역할도 청년을 훈련시켜 해외로 내보내는 방식에서 해외의 기업으로부터 일거리를 수주해 국내의 청년이 해외의 기업과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정부는 그간 해외취업을 위한 지원을 지속해 특히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대 출신 구직자와 인문계열 구직자, 여성 구직자 등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여전히 개선할 점이 많고 특히 일자리의 질과 사후관리에 대한 국민의 비판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어 개선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요뉴스